top of page

자유주의 신학의 이해

자유주의


기본적 의미: 어떤 사상 체계나 입장을 절대시하거나 그것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자유주의 정신은 개방된 마음, 관용, 진리에 대한 겸허하고 헌신적인 태도이다.

19세기 모든 사상, 즉 종교를 포함한 과학, 철학, 경제, 정치 등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침.


1. 종교적 자유주의


1799년 슐라이에르 마허의 "종교론" 출판으로부터 1차 세계대전에 이르는 기간의 신학을 의미. 형식, 내용, 신학방법론에서 정통주의와 신정통주의 학파와 구분됨.


현대 정신에 대한 개신교의 응답인 동시에 그 시대의 산물이었다. 현대의 과학적이며 합리적인 시대 정신에 근거하여 기독교 신앙을 재해석하거나 재진술함으로써 기독교를 변호하려는 노력이었다.


어느 특정 신앙고백이나 신조에 종속되지 않고 종교 개혁 신앙을 그 시대에 적절하고 타당하게 만들려고 한 시도였다.



2. 사상적 배경


1) 계몽주의


7가지 영향: 역사주의, 과학주의, 비평주의, 합리주의, 관용주의, 낙관주의 및 칸트주의(버나드 램)


세 가지로 요약됨


성경의 권위: 비평적 연구는 성경을 하나님의 계시된 말씀과 최고의 권위로 믿는 정통주의적 성서관을 배척함.

기적의 가능성: 기적의 가능성을 자연 질서의 규칙성에 대한 과학적 발전에 근거하여 부정함.

자연종교의 발전: 자연신론과 같은 합리주의적 종교가 발전함으로 복음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를 상실함.


2) 경건주의


17세기 정통주의 개신교는 종교개혁의 생명력있는 신앙을 상실하고 형식화, 교리화되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반동으로 나온 것이 경건주의이다.


흐름


스패너(Philip Jacob Spener, 1635-1705): 창시자

프랑케(August Hermann Franke, 1663-1727)

진센도르프(Graf Nicholas Zinzendorf, 1700-1760)

프러시아 왕 프레드릭 3세: 1694년 할레 대학을 설립함으로 경건주의 운동의 중심이 됨

18세기 말과 19세기 초 신경건주의: 멘켄(Gottfried Menken, 1768-1831)


특징

종교적 감정과 경험을 중요시하였다.

윤리적인 면을 강조하였다.

개인주의에 기초하여 종교의 개인화를 목적으로 삼았다.

강력한 헌신 생활과 그리스도와의 친밀한 교제를 중시하는 친교의 원리를 강조했다.

경건주의는 형식화된 정통주의 기독교에 생명력을 회복시키는 데 크게 공헌함.

- 그러나 자신의 영혼 구원에만 관심을 쏟는 개인주의적 신앙이 근본적인 결함이었다.

그러므로, 자유주의 신학이 주관주의적이며 경험적이며 윤리적인 성격을 띠는 것은 경건주의의 영향이라 하겠다.


3) 낭만주의


18세기에 합리주의과 기계론적 우주관을 거부하는 움직임.

- 1790년대 루쏘와 레씽에 의해 독일에서 시작

- 18세기 후반과 19세기에 이르기까지 예술, 문함, 과학 등 다방변에 걸쳐 광범위하게 전개됨


인공적인 것보다 자연적인 것을

강요된 것보다 자발적인 것을

차가운 합리성보다 경험과 감정을

외적이며 형식적인것보다 내적이며 상상적인것을 강조하는 경향이있다(헤론 Alasdair I.C Heron).


흐름


루쏘와 레씽에서 시작

헤르더(Herder)와 쉴러(Schiller)에 의해 육성됨

노발리스(Novalis)와 슐레겔(F. Schlegel)형제, 피히테(Fichte) 등에 의해 개화됨

헤겔, 쉘링 등과 같은 철학자와 슐라이에르 마허, 코러리지(Coleridge), 뉴우맨(Newman)과 같은 신학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줌.


3. 자유주의 신학의 태동


1) 슐라이에르 마허의 등장(현대 신학의 아버지)


- 르네상스로부터 시작된 현대 정신은 18세기 유럽의 지성계 대부분을 지배함

- 과학적이며 나관적인 세계관을 형성함: 과학적 경험주의와 역사적 상대주의.

- 그는 현대의 정황에서 신학의 가능성을 문제 삼고 그에 근거하여 기독교의 전통적인 진리를 재해석함으로써 현재 자유주의 신학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2) 종교를 멸시하는 교양인에게 보내는 종교론(1799): 자유주의 신학의 선언서로 간주됨

- 종교론은 젊은 지성인에게 감동을 주었고 그들이 외면했고 멸시했던 종교로 다시 돌아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3) 신앙론(1821): 신학이 과거 도식의 단순한 반복으로 생각하지 않고 현대 세계와의 살아있는 관계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보았다.

그는 신학의 토대를 신조, 교의 또는 성경본문이 아니라

인간의 종교적 경험 혹은 기독교인 자기 의식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4) 의의


현대 세계의 도전에 대한 최초의 신학적 응답이었다.

인간의 경험을 신학의 주된 자료로 받아들임으로써 신학에 새로운 활기와 관심을 불어넣었다.

현대 자유주의 신학의 문제점과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 그러나 후대 신학이 인간 중심적이 되거나 인간학이 된 것은 그의 방법론적 오류와

- 계시의 연구가 아닌 인간의 자기의식 또는 종교성의 연구로 전환시켰기 때문이었다.


4. 자유주의 신학의 조류와 특징


1) 신학조류


슐라이에르 마허로 대변되는 감정의 신학이다.

- 네안더, 니이체, 슈바이처, 트베스텐 등


헤겔 철학에 기반을 둔 역사 비평적 신학 또는 헤겔학파의 신학이다.

- 스트라우스, 바우르, 바이세, 비더만 등


칸트 철학에 기반을 둔 리츨학파의 신학과 트뤼쵤의 종교사학파의 신학이다.

- 리츨학파: 헤르만, 하르낙, 고트쉬크, 카텐부쉬, 숄츠 등

기독교의 윤리적 의미와 사회적 의미를 강조함

- 종교사학파: 궁켈, 부세트, 브레데, 바이스, 트뢸취 등

세계 모든 종교를 역사의 발전 과정에서 이해하려 함: 역사적 지리적 환경에 비추어 연구함.

초자연적인 요소를 고대 근동의 신비 종교에서 들어온 것이라 생각하여 제거함.


2) 미국의 자유주의


유니태리아니즘(Unitarianism)과 사회 복음주의 신학(19세기 초)

- 19세기 독일 자유주의 신학으로부터 파생되어 미국 특유의 자유주의적 환경에서 성장함.

유니태리아니즘: 삼위 일체론을 거부하고 유일한 신격을 주장

- 채닝, 아르트, 깁스 등

사회 복음주의 신학: 사회 윤리와 사회 구원을 주장함.

- 그래든, 바우센부쉬, 버스넬 등

1930년대에는 네 가지로 분류됨(호오던)

극단적 자유주의자인 인문주의 그룹

경험적 종교 철학 그룹: 윌맨, 브라이트 맨

예수 운동: 워터맨

복음적 자유주의: 포스딕, 브라운, 코핀 등


3) 자유주의 신학에 반대하는 새로운 신학운동

유럽에서는 제1차 세계대전을 기점으로, 미국에서는 1929년 경제 대공황을 기점으로 자유주의 신학을 쇠퇴하게 되었다. 인간 이성의 능력, 낙관주의, 역사적 진보주의에 대한 신뢰가 파괴됨으로 자유주의 신학은 그 사상적 기반을 상실하였다.

유럽의 신정통주의 신학

미국의 근본주의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유주의는 그 영향력이 그대로 남아, 해방신학, 여성신학, 흑인신학, 민중신학 등으로 계속 맥을 잇고 있다.


신학적 특징


신학의 토대를 인간의 경험에 두었다.

예수의 인간성을 강조했다.

하나님의 내재성을 강조했다.

낙관주의적 인간관을 주장했다.

기독교의 윤리적, 사회적 의미를 강조했다.

현대 과학과 기독교의 전통적인 교훈을 중재하려고 시도했다.


5. 결론


자유주의 신학은 현대 정신을 신학에 반영하여 현대인이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기독교를 재해석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를 인간의 이성이나 경험에 근거하여 수행함으로 인간 중심의 신학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이성과 과학이 진리의 척도가 됨으로 복음의 본질적인 부분을 거부하거나 왜곡하게 되었다.

자유주의 신학은 그 출발이 잘못되었다. 하나님의 말씀이 아닌 인간의 능력이나 경험을 신학의 출발점으로 삼았던 것이다. 그리하여 복음의 핵심을 상실하고 기독교를 계시 종교에서 윤리종교로, 하나님의 말씀 중심의 종교에서 인간 중심의 합리적인 종교로 만들었다.

건전한 신학은 성경, 전통, 이성 및 경험이라는 신학의 네 가지 근원이 균형을 이룰 때에라야 가능하다. 성경은 그 문제를 어떻게 다루고있으며(성경신학), 전통은 또 어떻게 해석하며(교회사), 이성은 어떻게 체계화하고 있는지(교의학 조직신학), 존재론적으로는 과연 어떻게 인간 경험에 관련되어 있는지 제시해야 할 것이다(봉사신학 혹은 실천신학).

Nyskc Teachers Colloquium

Nyskc Teachers Colloquium NT는 Nyskc Teachers의 약자입니다 Nyskc는 신앙생활의 5대원칙으로 만들어진 신조를 통해서 예배회복을 이루려는 한편 하나님이 없는 곳에서 하나님 있는 곳으로 예배가 없는 곳에서 예배가...

월명(月名)의 유래

1월 : January ( Jan.) : the month of Janus (로마신화에서 머리의 앞뒤에 하나씩 얼굴을 가지고 있어서 대문의 수호신인 Janus 의 달을 의미한다.) 2월 : February ( Feb, ) : the month...

bottom of page